안테 마르코비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테 마르코비치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출신의 정치인으로,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으로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고 자그레브 대학교에서 전기 공학을 전공했다. 그는 라데 콘차르 산업 공장의 이사를 역임했으며,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 대통령과 유고슬라비아 총리를 지냈다. 총리 재임 시절 시장 경제 개혁을 추진했으나, 유고슬라비아의 경제 위기와 민족 갈등으로 인해 실패했다. 1991년에는 암살 시도를 겪었으며, 유고슬라비아 해체 이후에는 경제 고문으로 활동하다 2011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 관련자 - 블라디미르 바르톨
블라디미르 바르톨은 슬로베니아의 작가로, 철학, 심리학, 생물학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다양한 작품 활동을 했으며 대표작 《알라무트》는 세계적으로 알려져 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슬로베니아 파르티잔에 참여했으며 슬로베니아 과학 예술 아카데미 준회원을 역임했다. -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 관련자 - 벨코 카디예비치
벨코 카디예비치는 유고슬라비아 인민군 장군이자 국방부 장관으로서 유고 내전 당시 군사적 개입을 주도하며 논란이 되었고, 유고슬라비아 해체 후 ICTY 소환을 피해 러시아로 망명하여 생을 마감했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정치인 - 알리야 이제트베고비치
알리야 이제트베고비치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정치인이자 작가로서, 보스니아의 독립과 보스니아인의 정체성 확립에 기여했으며, 보스니아 전쟁 중 대통령으로 사라예보를 지키고 데이턴 협정을 통해 종전을 이끌었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정치인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대통령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대통령은 보스니아인, 크로아티아인, 세르비아인을 대표하는 3인으로 구성된 대통령 평의회이며, 8개월마다 의장 윤번제를 시행하고 외교 정책 수행, 조약 협상 및 비준, 대사 임명, 국제 기구 대표 등의 권한을 가진다. - 2011년 사망 - 엘리자베스 슬레이든
엘리자베스 슬레이든은 잉글랜드 배우로, BBC SF 드라마 《닥터 후》에서 사라 제인 스미스 역을 맡아 세 번째, 네 번째 닥터의 컴패니언으로 출연했으며, 이후 스핀오프 드라마 《사라 제인 어드벤처》에서 주연을 맡았다. - 2011년 사망 - 한기춘
한기춘은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한 경제학자이자 정치인으로, 연세대학교와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한국은행 고문, 금융통화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하고 유신정우회 국회의원과 국가보위입법회의 입법의원으로 활동했으나, 유신정권 참여 경력은 비판받는다.
안테 마르코비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어명 | Ante Marković |
로마자 표기 | Ante Marković |
직책 | |
제27대 유고슬라비아 총리 | 유고슬라비아 연방행정회의 의장 |
임기 시작 | 1989년 3월 16일 |
임기 종료 | 1991년 12월 20일 |
대통령 | 라이프 디즈다레비치(1989) 야네즈 드르노브셰크(1989–1990) 보리사프 요비치(1990–1991) 세이도 바이라모비치(1991) 스체판 메시치(1991) 브란코 코스티치(1991) |
부총리 | 알렉산다르 미트로비치 지브코 프레글(1989–1991) |
전임 | 브란코 미쿨리치 |
후임 | 알렉산다르 미트로비치(권한대행) 사무실 폐지 |
임기 시작 | 1988년 5월 10일 |
임기 종료 | 1989년 3월 16일 |
대통령 | 이보 라틴 |
전임 | 이보 라틴 |
임기 시작 | 1986년 5월 10일 |
임기 종료 | 1988년 5월 10일 |
총리 | 안툰 밀로비치 |
전임 | 에마 데로시벨라야츠 |
후임 | 이보 라틴 |
임기 시작 | 1982년 5월 10일 |
임기 종료 | 1986년 5월 10일 |
대통령 | 마리얀 츠베트코비치(1982–1983) 밀루틴 발티치(1983–1984) 야크샤 페트리치 (1984–1985) 페로 카르 (1985) 에마 데로시벨라야츠(1985–1986) |
전임 | 페타르 플레코비치 |
후임 | 안툰 밀로비치 |
개인 정보 | |
출생일 | 1924년 11월 25일 |
출생지 | 코니츠, 유고슬라비아 왕국(현재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사망일 | 2011년 11월 28일 |
사망지 | 자그레브, 크로아티아 |
국적 | 크로아티아 |
정당 | |
소속 정당 |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1943–1990) 유고슬라비아 혁신세력연합(1990–1991) |
학력 | 자그레브 대학교 졸업 |
2. 생애
안테 마르코비치는 1924년 유고슬라비아 왕국(당시 이름 세르브인 크로아트인 슬로벤인 왕국)의 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지방에 있는 코니츠에서 크로아트계 보스니아인으로 태어났다.[17] 1943년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에 입당하여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에 복무하였고,[17][4] 종전 후 자그레브 대학교 기술부 전기공학부에서 1954년 전기공학 학위를 받았다.[18] 1961년부터 1984년까지 자그레브에 있는 전기 회사인 콘차르 그룹에서 공학자로 시작하여 공장 총책임자까지 승진하였다.[18][5]
2. 1. 어린 시절과 교육
마르코비치는 1924년 유고슬라비아 왕국(당시 이름 세르브인 크로아트인 슬로벤인 왕국)의 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지방에 있는 코니츠에서 크로아트계 보스니아인으로 태어났다.[17] 1943년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에 입당하여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에 복무하였다.[17][4] 종전 후 자그레브 대학 기술부 전기공학부에서 1954년 전기공학 학위를 받았다.[18] 1961년부터 1984년까지 자그레브에 있는 전기 회사인 콘차르 그룹에서 공학자로 시작하여 공장 총책임자까지 승진하였다.[18][5]3. 정치 경력
안테 마르코비치는 1982년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행정위원회 의장으로 취임하며 정계에 입문하였다.[19] 4년 후, 에마 데로시벨라야츠의 뒤를 이어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대통령직 의장(대통령)에 취임하였다. 그는 크로아티아 공산주의자 동맹 내에서 진보적인 성향으로 알려져 다당제로의 정치 체제 개혁을 지지했고, 이로 인해 공산주의 보수파의 공격을 받았다.[19][20] 1986년에는 미하일 마르코비치를 대신하여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 대통령이 되었고, 1988년까지 재임한 후 이보 라틴에게 자리를 물려주었다.
1989년 3월, 브란코 미쿨리치가 사임하면서 마르코비치는 유고슬라비아의 총리가 되었다. 미국은 그가 시장경제 중심 개혁을 지지하는 인물로 알려져 있었기에, BBC는 마르코비치를 "유고슬라비아 내에서 워싱턴과의 가장 최고의 동맹"이라고 보도하며 서방 세계와의 협력을 기대했다.[21][22] 그는 총리 취임 후, 고정 환율제 도입, 국영기업 민영화, 자유 무역 등 유고슬라비아 역사상 전례 없는 대대적인 경제 개혁을 단행했다. 그 결과, 고질적인 인플레이션 문제가 해결되고 전반적인 생활 수준이 향상되었다. 그러나 단기적으로는 민영화된 산업 부문이 침체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국영 기업들이 자유 시장 경쟁에 적응하지 못하고 파산하는 경우가 속출했고, 정치적 반대파들은 이를 빌미로 마르코비치를 공격했다.[23]
마르코비치는 서구식 현대 정치인의 이미지 덕분에 유고슬라비아 내에서 가장 인기 있는 정치인이었다. 그는 유고슬라비아가 현대적이고 민주적인 연방으로 변화하기를 바라는 사람들의 지지를 받았다. 또한, 마르코비치는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내부의 격렬한 갈등에 직접 관여하지 않거나, 여러 공화국 사이를 중재하는 역할을 하며 인기를 유지했다. 예를 들어, 그는 총리 당선 연설에서 보이보디나 사회주의 자치주와 코소보 사회주의 자치주가 요시프 브로즈 티토 시절 누렸던 자치권을 회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25]
1990년 1월,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 대표단이 당대회에서 항의하며 퇴장하고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이 붕괴되자, 마르코비치는 "당 없이 유고슬라비아는 아무것도 할 수 없습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유고슬라비아 연방 유지를 위해 노력했으나, 대세르비아주의를 주장하는 슬로보단 밀로셰비치와 자국의 독립을 주장하는 크로아티아 및 슬로베니아 사이의 갈등으로 연방정부의 권위는 점차 약화되기 시작했다. 결국 유고슬라비아 인민군이 슬로보단 밀로셰비치와 세르비아 중심으로 움직이면서 연방 수호는 실패로 돌아갔다.
1991년 10월 7일, 유고슬라비아 인민군은 반스키 드보리 폭격을 통해 마르코비치와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 지도부를 암살하려 시도했다. 마르코비치는 즉시 유고슬라비아 국방부 장관 벨코 카디예비치를 비난했고, 카디예비치가 사임할 때까지 베오그라드로 돌아가는 것을 거부했다.[13]
마르코비치는 부코바르 학살이 일어난 지 한 달 후인 1991년 12월 20일 유고슬라비아 총리직에서 사퇴했다.
3. 1.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 시절
1982년 유고슬라비아가 채무위기에 빠진 시기에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행정위원회 의장으로 취임하며 정계에 입문하였다.[19] 4년의 임기를 마친 마르코비치는 에마 데로시벨라야츠를 이어받아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대통령직 의장, 즉 크로아티아의 대통령에 취임하였다. 마르코비치는 크로아티아 공산주의자 동맹 내에서 진보파로 알려져 있고 다당제로의 정치 체제 개혁도 지지해[19] 공산주의적 보수파의 공격을 받았다.[20]1986년, 미하일 마르코비치를 대신하여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 대통령이 되었다. 1988년까지 그 자리에 있었고, 이보 라틴에게 자리를 물려주었다.
3. 2. 유고슬라비아 총리 재임
1989년 3월 브란코 미쿨리치의 사임으로 유고슬라비아의 총리에 취임하였다. 미국에서는 마르코비치가 시장경제 중심 개혁을 옹호하는 것으로 알려져 서방 세계와의 협력을 기대하였고,[21] BBC에서는 마르코비치를 "유고슬라비아 내에서 워싱턴과의 가장 최고의 동맹"이라고 보도하였다.[22]
마르코비치는 서구 스타일 현대 정치인의 이미지 덕분에 유고슬라비아 내에서 가장 인기 있는 정치인이었다. 유고슬라비아가 현대적이며 민주적인 연방으로 변화하길 원하는 사람들이 그를 지지했다. 또한, 마르코비치는 유고슬라비아 내에서 점점 더 치열해지는 분쟁에 직접 관여하지 않거나 여러 공화국 사이를 중재하는 역할을 했다. 예를 들어, 총리 당선 연설에서 보이보디나 사회주의 자치주와 코소보 사회주의 자치주가 요시프 브로즈 티토 시기 받았던 자치권을 다시 돌려받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25]
1990년 1월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 대표단이 당대회에서 항의하며 나오고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이 붕괴되자, 마르코비치는 기자회견에서 "당 없이 유고슬라비아는 아무것도 할 수 없습니다!"라고 말했다.
이 즈음 대세르비아주의를 주장하는 슬로보단 밀로셰비치와, 자국의 독립을 주장하는 크로아티아와 슬로베니아 사이의 갈등으로 연방정부의 권위가 점점 무너지기 시작했다. 마르코비치는 연방 수호를 목적으로 임기 마지막 몇 달 동안 분리주의 세력과 타협점을 찾으려 노력하였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와 마케도니아는 이 계획을 지지했지만, 결국 유고슬라비아 인민군이 슬로보단 밀로셰비치와 세르비아 위주로 움직이면서 연방 수호는 실패했다. 마르코비치는 자신의 권한이 점점 없어지고 밀로셰비치의 간섭이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실패 원인을 밝혔다.[27]
마르코비치는 부코바르 학살이 일어난 지 한 달 후인 1991년 12월 20일 유고슬라비아 총리직에서 사퇴하였다.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당시 유고 인민군의 침공으로 많은 크로아티아인들이 분노했고, 이는 크로아티아 내에서 마르코비치가 밀로셰비치와 손을 잡았다는 비난이 나오는 이유이기도 하다.[28]
3. 2. 1. 경제 개혁
1989년 3월, 마르코비치는 브란코 미쿨리치의 사임으로 유고슬라비아의 총리에 취임하였다. 미국은 마르코비치가 시장경제 중심 개혁을 옹호하는 것으로 알려져 서방 세계와의 협력을 기대하였고, BBC는 그를 "유고슬라비아 내에서 워싱턴과의 가장 최고의 동맹"이라고 보도하였다.[21][22]1989년 말, 마르코비치는 고정 환율제 제정, 여러 국영기업의 민영화, 자유 무역제 등 유고슬라비아 내에서 유래없던 대대적인 경제 개혁을 시작했다. 경제 개혁 결과 인플레이션이 멈추고 전반적인 생활 수준은 향상되었으나, 단기적으로는 민영화된 산업 부문이 침체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국영 기업이 자유 시장 환경에서 경쟁하며 버티지 못한 수많은 기업의 파산이 일어났으며, 정치적 반대파들은 마르코비치를 경제 실패로 공격하였다.[23] 1990년 유고슬라비아의 연간 경제성장률은 전년도 +1.5%에서 -11.6%로 하락하였다.[24]
마르코비치는 유고슬라비아 내에서 가장 인기 있는 정치인이었고, 그의 인기는 서구 스타일 현대 정치인이라는 이미지 덕분이었다. 그는 유고슬라비아가 현대적이며 민주적인 연방으로 변화하길 원하는 사람들의 지지를 받았다. 또한 마르코비치는 유고슬라비아 내에서 점점 더 치열해지는 분쟁에 직접 관여하지 않거나 여러 공화국 사이를 중재하는 역할을 하였다.[25]
1990년 7월, 마르코비치는 중앙집권화된 유고슬라비아와 유고슬라비아의 존속을 지지하고 유고슬라비아의 유럽 공동체(ECC) 가입을 지지하는 신 정당인 유고슬라비아 혁신세력연합을 창설하였다. 하지만 이 정당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마케도니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4개 공화국 선거에서 패배했다.[26]
이 즈음 대세르비아주의를 주장하는 슬로보단 밀로셰비치와, 자국의 독립을 주장하는 크로아티아와 슬로베니아 사이의 갈등으로 연방정부의 권위가 점점 무너지기 시작했다. 마르코비치는 연방 수호를 목적으로 임기 마지막 몇 달 동안 분리주의 세력과 타협점을 찾으려 노력하였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와 마케도니아는 이 계획을 지지했지만 결국에는 연방 수호에 실패하였다. 마르코비치는 실패 원인을 연방 수호를 위해 움직여야 하는 유고슬라비아 인민군이 슬로보단 밀로셰비치와 세르비아 위주로 움직이고, 마르코비치의 권한이 점점 없어지고 밀로셰비치의 간섭이 늘어났기 때문이었다고 말했다.[27]
3. 2. 2. 유고슬라비아 내 민족 갈등과 연방 해체
1989년 3월, 안테 마르코비치는 브란코 미쿨리치의 사임으로 유고슬라비아의 총리가 되었다. 미국은 그가 시장경제 중심 개혁을 지지하는 인물로 알려져 있었기에, BBC는 마르코비치를 "유고슬라비아 내에서 워싱턴과의 가장 최고의 동맹"이라고 보도하며 서방 세계와의 협력을 기대했다.[21][22] 그 해 말, 마르코비치는 고정 환율제 도입, 국영기업 민영화, 자유 무역 등 유고슬라비아 역사상 전례 없는 대대적인 경제 개혁을 단행했다. 그 결과, 1989년 11월 56%에 달했던 월간 인플레이션이 1990년 3월에는 2.4%로 감소하는 등 고질적인 인플레이션 문제가 해결되고 전반적인 생활 수준이 향상되었다. 그러나 단기적으로는 민영화된 산업 부문이 침체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국영 기업들이 자유 시장 경쟁에 적응하지 못하고 파산하는 경우가 속출했고, 정치적 반대파들은 이를 빌미로 마르코비치를 공격했다.[23] 1990년 유고슬라비아의 연간 경제성장률은 전년도 +1.5%에서 -11.6%로 급락했다.[24]마르코비치는 서구식 현대 정치인의 이미지 덕분에 유고슬라비아 내에서 가장 인기 있는 정치인이었다. 그는 유고슬라비아가 현대적이고 민주적인 연방으로 변화하기를 바라는 사람들의 지지를 받았다. 또한, 마르코비치는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내부의 격렬한 갈등에 직접 관여하지 않거나, 여러 공화국 사이를 중재하는 역할을 하며 인기를 유지했다. 예를 들어, 그는 총리 당선 연설에서 보이보디나 사회주의 자치주와 코소보 사회주의 자치주가 요시프 브로즈 티토 시절 누렸던 자치권을 회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25]
1990년 1월,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 대표단이 당대회에서 항의하며 퇴장하고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이 붕괴되자, 마르코비치는 기자회견에서 "당 없이 유고슬라비아는 아무것도 할 수 없습니다!"라고 말했다. 1990년 7월, 마르코비치는 중앙집권화된 유고슬라비아와 유고슬라비아의 존속, 그리고 유럽 공동체(ECC) 가입을 지지하는 새로운 정당인 유고슬라비아 혁신세력연합을 창설했다. 그러나 이 정당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마케도니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4개 공화국 선거에서 패배했다.[26]
이 무렵, 대세르비아주의를 주장하는 슬로보단 밀로셰비치와 자국의 독립을 주장하는 크로아티아 및 슬로베니아 사이의 갈등으로 연방정부의 권위는 점차 약화되기 시작했다. 마르코비치는 연방을 지키기 위해 임기 마지막 몇 달 동안 분리주의 세력과 타협점을 찾으려 노력했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와 마케도니아는 이 계획을 지지했지만, 결국 유고슬라비아 인민군이 슬로보단 밀로셰비치와 세르비아 중심으로 움직이면서 연방 수호는 실패로 돌아갔다. 마르코비치는 자신의 권한이 점차 축소되고 밀로셰비치의 간섭이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실패 원인을 밝혔다.[27]
마르코비치는 부코바르 학살이 일어난 지 한 달 후인 1991년 12월 20일 유고슬라비아 총리직에서 사퇴했다.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당시 유고 인민군의 침공으로 많은 크로아티아인들이 분노했고, 이는 크로아티아 내에서 마르코비치가 밀로셰비치와 손을 잡았다는 비난이 나오는 이유이기도 하다.[28]
3. 2. 3. 암살 시도
1991년 10월 7일 정오경, 마르코비치는 당시 유고슬라비아 대통령이었던 스테판 메시치와 당시 크로아티아 대통령이었던 프라뇨 투지만을 반스키 드보리에서 만났다.[13] 이 만남의 목적은 마르코비치가 유고슬라비아 연방 정부 수장직에서 물러나 크로아티아 독립을 지지하도록 설득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설득은 마르코비치를 동요시키지 못했다. 세 사람은 이후 대통령 집무실로 이동해 디저트를 먹었다. 직후, 유고슬라비아 인민군은 반스키 드보리 폭격을 통해 마르코비치와 민주적으로 선출된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 지도부를 암살하려 시도했다. 마르코비치는 즉시 유고슬라비아 국방부 장관 벨코 카디예비치를 비난했고, 카디예비치가 사임할 때까지 베오그라드로 돌아가는 것을 거부했다.[13]3. 3. 유고슬라비아 붕괴 이후
1991년 유고슬라비아 해체 이후, 마르코비치는 대중의 시야에서 사라져 오스트리아에서 경제 고문으로 일했다. 1993년에는 프라뇨 투지만이 그를 크로아티아 총리로 선택했다는 소문이 돌았으나, 결국 그 자리는 니키차 발렌티치에게 돌아갔다.[14] 2000년대 초에는 북마케도니아 정부의 경제 고문으로, 2000년대 후반에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정부의 경제 고문으로 일했다.[29]2003년 구유고슬라비아 국제형사재판소(ICTY)에서 열린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재판에 증인으로 출두했다. 그는 밀로셰비치가 유고슬라비아를 붕괴시키고 대 세르비아를 만들려 했으며, 1991년 3월 카라조르제보 협정을 통해 프라뇨 투지만과 보스니아를 분할하기로 합의했다고 증언했다.[15] 또한 10일 전쟁 당시 슬로베니아 개입은 자신의 권한 밖이라며 거부한 마르코비치와 달리, 밀로셰비치는 직접 군 개입을 명령했다고 밝혔다.[14]
2011년 11월 28일, 마르코비치는 자그레브 자택에서 짧은 투병 끝에 8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6] 그는 두브로브니크에 안장되었으며, 장례식에는 스테판 메시치 전 크로아티아 대통령 등이 참석했다.[32]
4. 사망
마르코비치는 2011년 11월 28일, 87세의 나이로 짧은 투병 끝에 사망했다.[16] 마르코비치는 두브로브니크에 안장되었다. 장례식에는 스테판 메시치 전 크로아티아 대통령, 밀로라드 도딕 스릅스카 공화국 대통령, 영화 제작자 에미르 쿠스투리차 등이 참석했다. 크로아티아 사보르 (의회)는 안테 마르코비치 유족에게 애도를 표했다.
5. 유산과 평가
유고슬라비아 해체 이후, 마르코비치는 대중의 시야에서 사라져 오스트리아에서 경제 고문으로 일했다. 1993년에는 투지만이 그를 크로아티아 총리로 선택했다는 소문이 돌았으나, 결국 니키차 발렌티치가 총리직을 맡았다.[14]
2000년대 초반에는 북마케도니아 정부의 경제 고문으로, 2000년대 후반에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정부의 경제 고문으로 활동했다. 또한 사업가로서 사라예보에서 고급 아파트 건물과 소규모 수력 발전소를 건설했다.[14]
2003년, 마르코비치는 국제 유고슬라비아 전범 재판소(ICTY)에서 열린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재판에 증인으로 출두했다. 그는 밀로셰비치가 유고슬라비아 붕괴 속에서 대 세르비아를 만들려 했으며, 밀로셰비치와 투지만 모두 1991년 3월 카라조르제보에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분할하기로 합의했음을 확인했다고 증언했다.[15] 그러나 밀로셰비치가 슬로베니아에 유고슬라비아군이 개입하도록 명령했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유고슬라비아 총리로서 자신의 권한 밖의 일이었다며 부인했다.[14]
마르코비치는 2011년 11월 28일 87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두브로브니크에 묻혔다. 장례식에는 스테판 메시치 전 크로아티아 대통령, 밀로라드 도딕 스릅스카 공화국 대통령, 에미르 쿠스투리차 등이 참석했다. 크로아티아 사보르 (의회)는 유족에게 애도를 표했다.
참조
[1]
뉴스
Ante Markovic obituary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1-12-15
[2]
뉴스
Umro Ante Marković
http://www.hrt.hr/in[...]
Croatian Radiotelevision
2011-11-28
[3]
간행물
The Failure of "Yugoslavia's Last Chance": Ante Marković and his Reformists in the 1990 Elections
https://www.cambridg[...]
2022
[4]
웹사이트
Ante Marković: the last Yugoslav leader
https://www.opendemo[...]
[5]
웹사이트
Dodijeljene Zlatne diplome i priznanja "Josip Lončar"
http://www.fer.unizg[...]
[6]
문서
Facts on File
1989-01-27
[7]
문서
"The Massacre of Yugoslavia," New York Review of Books
1992-01-30
[8]
웹사이트
Testimony of Borisav Jović
http://www.icty.org/[...]
ICTY
2003-11-20
[9]
서적
The Breakup of Yugoslavia and the War in Bosnia
https://archive.org/[...]
Greenwood Publishing Group
[10]
서적
Yugoslavia's Bloody Collapse
C. Hurst & Co. Publishers
[11]
서적
The Serbs: History, Myth and the Destruction of Yugoslavia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12]
문서
Magazine Vreme
1991-09-23
[13]
웹사이트
Yugoslav Planes Attack Croatian Presidential Palace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91-10-08
[14]
웹사이트
Odlazak Markovića: Bio uvjeren da će dogovorima sačuvati SFRJ
http://www.vecernji.[...]
2011-11-28
[15]
웹사이트
Report on Marković's testimony on ICTY
http://www.bosnia.or[...]
[16]
뉴스
Ante Markovic, Last Premier of Yugoslavia, Dies at 87 – The New York Times
https://mobile.nytim[...]
The New York Times
2011-12-01
[17]
웹인용
Ante Marković: the last Yugoslav leader
https://www.opendemo[...]
2021-10-16
[18]
웹인용
Dodijeljene Zlatne diplome i priznanja "Josip Lončar"
http://www.fer.unizg[...]
[19]
웹인용
Ante Marković: Kako bih ja riješio ovu krizu
http://liderpress.hr[...]
Lider
2021-10-15
[20]
문서
»Ante Marković, Posle 12 godina ćutanja: Moja istina o smrti Jugoslavije«, feljton 3., »Pištolj ispod jastuka«, Dnevni list Danas
2003-11-13
[21]
문서
Facts on File
1989-01-27
[22]
문서
"The Massacre of Yugoslavia," New York Review of Books
1992-01-30
[23]
문서
Yugoslavia as History: Twice There Was a Count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웹인용
National Accounts - Analysis of Main Aggregates (AMA)
https://unstats.un.o[...]
[25]
문서
»Ante Marković, Posle 12 godina ćutanja: Moja istina o smrti Jugoslavije«, feljton 6., »Vojska van kontrole«, dnevni list Danas
2003-11-13
[26]
문서
Hrvatska 1918 - 2008.
[27]
서적 인용
The Serbs: History, Myth and the Destruction of Yugoslavia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28]
웹인용
Umro Ante Marković, posljednji predsjednik vlade SFRJ
http://www.novilist.[...]
Novi list
2021-10-16
[29]
웹인용
Odlazak Markovića: Bio uvjeren da će dogovorima sačuvati SFRJ
http://www.vecernji.[...]
2012-03-12
[30]
웹인용
Report on Marković's testimony on ICTY
http://www.bosnia.or[...]
2006-02-23
[31]
웹인용
Odlazak Markovića: Bio uvjeren da će dogovorima sačuvati SFRJ
http://www.vecernji.[...]
2012-03-12
[32]
URL
https://mobile.nyti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